심실세동전류 2

통전전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통전전류와 인체반응통전전류 구분통전전류 (상용주파수 60Hz 기준)전격의 영향최소감지전류성인 남자의 경우 1[mA]고통 없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전류고통한계전류7~8[mA]통전전류가 최소감지전류보다 커지면 어느 순간부터 고통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을 참을 수 있는 전류가수전류(이탈전류)10~15[mA](최저가수전류치 남: 9[mA], 여: 6[mA])인체가 자력으로 이탈 가능한 전류(※ 마비한계전류라고도 함)불수전류(교착전류)20~50[mA]통전전류가 고통한계전류보다 커지면 인체 각부의 근육이 수축현상을 일으키고 신경이 마비되어 신체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없는(자력으로 이탈 불가능) 전류심실세동전류(치사전류)I = 165/√T[mA]I: 심실세동전류[mA]T: 통전시간[s]심근의 미세한..

습윤상태(수중펌프)에서의 전기작업

습윤한 장소(물기가 있는 장소)에서의 전기작업 및 관련 재해에 대한 동영상=>작업자가 수중펌프 접속부위에 감전되어 발생한 사고.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당한 원인을 인체의 피부저항과 관련하여 설명  인체의 피부저항은 물에 젖어 있을 경우 1/25로 저항이 감소하므로 그만큼 통전전류가 커져 감전의 위험이 높아진다. 실기 필답형에서는 종종 심실세동전류와 심실세동전류를 일으킨 시간을 구하라는 문제가 나오기도 한다.이 때, 인체의 저항 R과 전압 V는 주어진다.I = V/R를 이용해서 I를 구하고, I = 165/√T (여기서, I는 심실세동을 유발할 수 있는 최소전류 = 최소 전류 한계치 [mA], T는 전류가 흐른 시간[s])를 이용해서 T를 구한다.  습윤한 장소인 것에 주의하여 주어진 인체 저항에 1/25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