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70

2025.01.17

행복좋다. 02시 10분 취침 08시 10분 기상어제 하루온종일 동료들과 이야기한건.. 혼자 공부할 때랑 차원이 다른 무언가를 안겨줌혼자 공부할 때는 육체적 피로감만 이겨내면 되는데 그래서 버티다 버티다 몸이 잠들면 잠들었는데이번엔 정신적 육체적 피로감에 기절사냥놀이를 할 때, 쿠키랑 나랑 둘이서 하면 쿠키 눈치만 보면 되는데 쿠키 이브 나 이렇게 셋이 되니까 쿠키 눈치도 보고 이브 눈치도 보면서 몰래몰래 도망다녀야해서 빡세다. 내가 몰래 움직이다 쿠키한테 들켜도 쿠키는 모르는 척 해준다. 이브는 모른다.물 두컵이나 마셨다. ㄴ요가 ㄴ샤워시계 그거 어떻게 보는건데 django강의 다시 보기 시작함 징그러운데 재밌다.징그러운 이유는 누가 자꾸 빨리 보라하고 빨리 끝내라고 하는데 내가 거기에 동요돼버려서.샤..

2025/미정 2025.01.18

Remote Repository 연결 및 관리

Remote Repository 생성 및 Local에 복사 (git clone)   1. GitHub에서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  • Repository 이름, 설명, 공개/비공개 설정 • 초기화를 위해 README, .gitignore 파일 추가 가능 2. Local 환경에서 Repository 복사cd ~/Desktop # 원하는 local경로git clone https://github.com/github-username/repository-name.git remote repository를 local 환경에 복사  3. 클론한 폴더 열기cd repository-namecode . # VS Code에서 폴더 열기   Local Repository 작업 및 Remote Repository로..

Git Github 2025.01.17

2025.01.15

행복해이브가 거의 쿠키만큼 크다. 쿠키 이브 벌크업 달려보자.이브는 잠꼬대도 한다. 말을 잘하는 스타일이다. 마인드셋 잘 먹히고 좋다. 과제 졸라 빠르게 끝냄. 대충 하고 커서트레일 구현하고 싶어서 그거 했다. 아직 못했다. 하고 싶다.하다가 걍 통계학 봄.하여튼 노스트레스에 좋다. 샤워했는데 요가는 안 했다. 07시 30분 취침 08시 30분 기상15시-15시 30분 낮잠시계는 안 보고 사는 중물대신 커피랑 펩시제로 때려 박는 중 찰나의 행복일까 !!!!!!!!!!!!!!!!!!!!!!!!!!!잠자고 일어난 수빈이가 물은 많이 마셨으면 좋겠다. 그리고 프로틴도..

2025/미정 2025.01.16

통계학과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과 통계학의 관계 인공지능(AI)과 통계학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AI의 발전은 통계학적 개념과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음   통계학 : AI의 이론적 기반 AI 시스템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불확실성을 다루는 데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예 : 확률론은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모델링하거나 결과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 통계학에서 유래된 머신러닝 알고리즘→ 많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통계적 모델에서 발전선형 회귀 : 데이터를 직선으로 표현하여 관계를 설명로지스틱 회귀 : 이진 분류 문제에서 데이터의 확률적 분포를 모델링나이브 베이즈 분류기 : 조건부 확률에 기반한 분류 모델 *AI에서 선형대수와 통계학의 역할 비교 선형대수통계학데이터 표현벡터와 행렬로 데이터를 표현하고 계산데이터를 통계적 ..

2025.01.14

행복!쿠키랑 이브랑 저녁께즈음부터 침대에서 꼭 붙어있길래 간만에 사이 좋아보였다. 알고보니까 온수 온도 조작하다가 바닥난방을 꺼놔서 추워가지구 붙어있던거였다.오늘따라 춥더라..그리구 다시 ㅈㄲ마인드셋팅이 돼버렸다. 행복이 배가 됐다.하고싶은대로 하고싶은 것만 하고 산다.03시 05분 취침, 08시 기상요가도 안하고 샤워도 안했다. ! 물도 안마셨다 ! 한모금 마셨다 ! 좋다 !

2025/미정 2025.01.15

Django - ORM(Object-Relational Mapping)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객체지향 언어(예: Python)의 객체를 사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객체지향 언어는 데이터를 클래스와 객체로 다루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과 행으로 데이터를 관리→ 두 시스템 간의 개념적 차이를 줄이는 것이 ORM의 역할 ORM을 사용하면 SQL문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Python 코드만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음   ORM의 주요 사례 • Python: Django ORM, SQLAlchemy, Tortoise ORM • Java: JPA, Hibernate • Node.js: Sequelize Django 프로젝트에서는 별도의 언급 없이 ORM을 기본으로 사용(Django가 기본적으로 ORM기능..

Django - Model

Django - Model 데이터베이스의 구조(layout)와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필드 및 동작을 포함models.Model을 상속받아 사용하며, 보통 하나의 Model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응   • Database(데이터베이스): 잘 정리된 데이터의 집합 • Query(쿼리): 데이터베이스 조작을 위한 언어 • Schema(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한 설계도 • Table(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는 조직화된 집합 (열: 속성/필드, 행: 데이터/레코드/튜플) • Primary Key(PK): 각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열 →데이터베이스를 Django의 Model을 사용해서 구조화하고 조작!    Django Model 생성하기 앱 내 mo..

Perceptron(퍼셉트론)

Perceptron(퍼셉트론)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인공 뉴런 모델 중 하나이진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알고리즘으로, 입력 데이터를 받아 두 개의 클래스 중 하나에 속하는지 판단 1957년 프랭크 로젠블랫(Frank Rosenblatt)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초기 지도 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로 간주됨   퍼셉트론의 동작 원리 여러 입력 신호를 받아 각각 가중치(weight)를 곱한 뒤, 이를 모두 합산하고, 합산된 값을 활성화 함수(주로 계단 함수)에 통과시켜 단일 이진 출력을 생성  퍼셉트론의 동작입력 값을 받아 가중치와 곱함각 가중치가 곱해진 입력 값을 합산하고, 바이어스를 더함합산된 값을 활성화 함수에 통과시켜 최종..

⊢MachineLearning 2025.01.14

Django - URLs

URL 패턴 정의 Django에서 URL 패턴은 urls.py에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path() 함수를 사용  URL Dispatcher들어온 요청(URL)이 어느 view 함수로 처리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Django의 시스템Django는 URL을 구조적으로 매핑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임  URL 분리와 다중 앱 구성 Multiple Apps 구성• 프로젝트가 복잡해지면 앱 별로 URL과 view를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 각 앱 내부에 urls.py를 추가하여 정리 가능   users 앱 생성python manage.py startapp users  users앱 등록  users 앱 내 urls.py, views.py, templates/profile.html, templates/users.h..

728x90